
📘 한국 바둑의 역사 ③편
[한국 바둑의 황금기: 조훈현의 시대]
한국 바둑이 세계 최강이라는 타이틀을 처음으로 손에 넣은 시기,
그 중심에는 단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조훈현(趙勳炫) 9단.
그는 한국 바둑을 아시아의 변방에서 세계의 중심으로 끌어올린 절대적 존재였습니다.
3편에서는 ‘바둑 황제(皇帝)’라 불린 조훈현이 어떻게 한국 바둑의 황금기를 열었는지 인물 중심으로 다뤄봅니다.

1. 한국천재에서 세계 최강으로
조훈현 9단은 1953년 전라남도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부터 압도적인 실력으로 ‘천재’라는 말을 들었고, 9세 때 일본으로 건너가 기타니 미노루 문하에서 바둑을 배우며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입니다.
일본에서 경쟁을 경험하며
- 세계 최고 수준의 실전 감각
- 치열한 경쟁 문화
- 최신 정석과 이론을 직접 체득한 조훈현은, 귀국 후 곧바로 한국 바둑계를 압도하기 시작합니다.

2. 귀국 이후 ‘독주 시대’의 시작
1970년대 국내 바둑계는 사실상 ‘조훈현 원톱’ 체제였습니다.
● 압도적인 승률
● 연속 기전 석권
● 라이벌 부재
● 기술적·창의적 우위
조남철이 한국 바둑의 ‘기초 체계’를 만들었다면,
조훈현은 그 틀 안에서 기술 수준 자체를 세계 정상급으로 끌어올린 인물이었습니다.
3. 조훈현의 바둑 스타일 – “정교한 파괴력”
조훈현의 기풍은 흔히 이렇게 요약됩니다.
- 극도로 빠른 수읽기
- 상대의 허점을 찌르는 폭발력
- 초반부터 주도권을 잡는 공격성
- 한국식 바둑의 공격적 전통 형성
그는 ‘수읽기의 정확성과 전투력’을 결합해, 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중반 전투의 폭발력은 지금도 회자될 정도로 강했습니다.
이 공격적이고 기민한 스타일은 훗날
한국 바둑 = 읽기 + 전투력 + 속도
라는 공식의 기원이 됩니다.

4. 국제무대 개척 – 한·중·일 삼국지의 시작
1980년대, 조훈현은 일본·중국의 정상급 기사들과 정면 승부하며 한국 바둑의 위상을 끌어올립니다.
● 고바야시 고이치
● 다케미야 마사키
● 린하이펑
● 마이천푸
등 세계 최상위 수준의 기사들을 상대로 수많은 명승부를 펼쳤습니다.
이 시기부터 비로소
한·중·일 삼국의 바둑 경쟁 체제가 본격적으로 형성됩니다.
그리고…
조훈현은 그 경쟁 속에서 ‘한국이 일본을 넘어설 수 있음’을 세계에 증명한 첫 번째 기사였습니다.

5. 제자 양성 – “이창호 시대의 문을 연 스승”
조훈현에게는 탁월한 또 하나의 업적이 있습니다.
바로 후계자를 직접 길러낸 스승이라는 점입니다.
그 대표가 바로 이창호(李昌鎬).
9세 어린아이로 조훈현 도장에 들어온 이창호는
스승의 한 수 한 수를 흡수하며 성장했고,
결국 스승이 만든 한국 바둑의 기반 위에서 더 완벽한 기풍을 구축합니다.
한국 정상급 기사들 다수가 조훈현 사사 혹은 영향을 받은 기풍을 이어받았습니다.
그래서 조훈현은 기사들 사이에서
“한국 바둑의 스승”,
또는
“조남철이 판을 만들고, 조훈현이 한국을 세계 최강으로 만들었다.”
라는 평가를 듣습니다.
6. ‘19회 우승’으로 증명된 절대 왕조
조훈현은 국내·국제 기전에서
총 19회 세계대회 우승,
150회 이상의 공식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특히 ‘국제대회 초대 우승자’의 타이틀이 많습니다.
- 제1회 후지쓰배 우승
- 제1회 응씨배 준우승(최초 준우승자)
- 제1회 동양증권배 준우승
- 제1회 삼성화재배 우승
그야말로 한국 바둑이 세계 정상에 올라서는 순간을 직접 만들어낸 인물입니다.

7. 조훈현의 유산 – “한국 바둑의 황금기를 연 선구자”
그가 남긴 영향은 명확합니다.
● 한국 바둑의 세계화
● 공격 + 읽기 중심의 한국식 기풍 정립
● 제자 양성을 통한 후대 시스템 구축
● 세계대회 체제의 확산 촉진
● 한·중·일 삼국 경쟁 구조 완성
● 한국의 ‘바둑은 세계 최강’이라는 이미지 확립
조훈현의 시대는 한국 바둑의 첫 번째 절대 정점이었고,
뒤이어 등장하는 이창호 시대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8. 다음 편 예고 – “완벽의 대명사, 이창호 시대(④편)”
4편에서는 마침내 한국 바둑 역사상 최고의 이름,
이창호(李昌鎬) 9단의 시대를 다룹니다.
- 왜 ‘국수(國手)’라 불리는가?
- 정확성의 철학
- 조훈현을 넘어 세계 최강의 자리에 오른 과정
- 최강 일본·중국 기사들을 압도한 결정적 명승부
- 한국 바둑 전성기(1990~2000년대)의 구조
제27회 농신 신라면배
제2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분석 - 2R : 11/21 부산 1국, 강동윤 vs 탄샤오 (강동윤 승, 탄
🍜 제2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분석 한국기원이 주최,주관하고 농심그룹에서 후원하는 바둑대회로 정식 명칭은 농심辛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입니다. 참고로, 후원사 농심은 이름을
fantasy-park.com
'스포츠 > 스포츠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⑤ AI 시대의 선두주자: 이세돌과 알파고 대결의 의미] (0) | 2025.11.22 |
|---|---|
| 📘 [④ 한국 바둑 완벽의 대명사: 이창호 시대] (0) | 2025.11.22 |
| 📘 [② 근대 한국 바둑의 시작: 조남철과 한국기원 설립] (0) | 2025.11.22 |
| 📘 한국 바둑의 역사 시리즈 통합편 (1-10) (0) | 2025.11.21 |
| 📘 [① 한국 바둑의 기원과 조선 시대의 바둑] (0) | 2025.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