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체크스윙 비디오 판독, 이제는 ‘현장 오심 논란 종결’?
1. 도입 개요
시행 시기: 2025년 8월 19일부터 KBO 정규리그 전 경기에서 체크스윙 비디오 판독이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결정 배경: 7월 22일 KBO 실행위원회에서 퓨처스리그 기준을 1군 무대까지 확대 적용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2. 판정 기준 & 요청 방식
- 판정 기준: 배트 끝이 홈플레이트 앞 기준선을 90° 초과하면 스윙, 이하는 노스윙.
- 손잡이·몸 회전 등은 고려하지 않으며, 번트 시도는 제외.
- 판독 요청 제한: 팀당 2회, 연장전 추가 1회. 번복 시 기회 유지.
- 요청 가능 상황: 공격팀은 원심 스윙일 때, 수비팀은 노스윙일 때.
- 요청 시점: 판정 직후 30초 이내(이닝 종료 시 10초).
- 영상 기준: KBO 전용 카메라 기반. 장비 고장 시 해당 경기 판독 불가.
3. 현장 첫 판정 번복 사례
8월 20일 잠실 LG vs 롯데전에서 첫 판정 번복이 있었습니다.
LG 손호영 선수의 체크스윙이 판독 결과 노스윙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비록 경기 승패에는 직접 영향이 없었지만, 억울함 없는 경기를 가능케 한 중요한 사례였습니다.

4. 장단점 요약
구분 | 내용 |
---|---|
장점 | 판정 공정성 강화: 모호한 체크스윙 판정을 기술 기준에 따라 명확하게 판단 가능 선수 만족도 증대 : ‘억울함 없이’ 플레이 이어갈 수 있어 경기 몰입도 증가 시연 효과 : 첫 번복 사례로 실효성 입증 |
한계 | 경기 지연 우려 : 30초 내 요청 등 실전 흐름 저하 가능성 존재 장비 의존성 : 장비 문제 시 판독 자체가 불가 <표준화 필요> 규정 이해·교육 필요 : 심판, 감독 등에게 세칙 교육 필요 (KBO가 사전 공지 및 설명회 진행) |
5. 맺음말
체크스윙 비디오 판독은 오랜 기다림 끝에 도입된 제도입니다.
기술적 장치와 규정 운영이 안정화된다면, KBO 리그는 투명하고 몰입도 높은 경기를 제공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입니다.
야구 용어 정리 :
야구 용어 정리 및 분석과 사인교환 용어
⚾ 야구 용어 정리 및 분석 (Korean-English Bilingual Baseball Glossary) 1️⃣ 경기 포지션 및 수비 관련 용어 한국어 영어 설명 투수Pitcher (P)공을 던지는 선수. 선발·중계·마무리로 나뉨.포수Catcher (C)홈
fantasy-park.com
반응형
'스포츠 >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C 최강야구를 즐기자! (5) | 2025.08.16 |
---|---|
야구 AI 스트라이크 존((Automated Ball-Strike System, ABSS) (7) | 2025.08.07 |
프로야구 롯데의 ‘화수분(花壽盆) 야구’란 무엇인가? (6) | 2025.08.01 |
부산의 야구 열기 – 부산 갈매기, 그리고 롯데! (11) | 2025.07.30 |
2025 KBO ‘웰컴 톱랭킹 시스템’ 확인하기 (1)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