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구 용어 정리 및 분석 (Korean-English Bilingual Baseball Glossary)
1️⃣ 경기 포지션 및 수비 관련 용어
| 투수 | Pitcher (P) | 공을 던지는 선수. 선발·중계·마무리로 나뉨. |
| 포수 | Catcher (C) | 홈 플레이트 뒤에서 투수를 받아주는 포지션. 사인 전달 역할도 함. |
| 1루수 | First Baseman (1B) | 1루를 수비하는 내야수 |
| 2루수 | Second Baseman (2B) | 2루를 수비하는 내야수 |
| 3루수 | Third Baseman (3B) | 3루를 수비하는 내야수 |
| 유격수 | Shortstop (SS) | 2루와 3루 사이를 수비하는 내야 핵심 |
| 좌익수 | Left Fielder (LF) | 외야 왼쪽을 담당 |
| 중견수 | Center Fielder (CF) | 외야 중앙을 담당, 수비 범위 넓음 |
| 우익수 | Right Fielder (RF) | 외야 오른쪽 담당 |

2️⃣ 타격 및 공격 관련 용어
| 타자 | Batter / Hitter | 타석에 들어선 공격수 |
| 타석 | At-bat | 타자가 타격을 시도하는 행위 |
| 안타 | Hit | 공을 쳐서 출루에 성공한 경우 |
| 1루타 | Single | 1루까지 안전하게 도달한 안타 |
| 2루타 | Double | 2루까지 도달 |
| 3루타 | Triple | 3루까지 도달 |
| 홈런 | Home Run | 담장을 넘겨 홈까지 도달 |
| 희생번트 | Sacrifice Bunt | 진루를 위한 의도적 희생 번트 |
| 볼넷 | Walk / Base on Balls (BB) | 4구로 인한 자동 출루 |
| 삼진 | Strikeout (K) | 스트라이크 3개로 아웃된 경우 |
| 병살타 | Double Play | 한 타구로 두 명의 주자가 아웃됨 |
| 클러치 히터 | Clutch Hitter | 중요한 순간에 강한 타자 |
3️⃣ 주루 및 진루 관련 용어
| 주자 | Runner | 루상에 있는 선수 |
| 도루 | Stolen Base (SB) | 투수가 던지는 사이에 다음 루로 진루 |
| 견제 | Pickoff | 주자의 도루를 저지하기 위한 시도 |
| 태그업 | Tag Up | 플라이볼 시 타구가 잡힌 후 진루하는 플레이 |
| 포스 아웃 | Force Out | 강제진루 상황에서 아웃 처리 |
| 슬라이딩 | Sliding | 루에 안전하게 도달하기 위해 미끄러지며 들어감 |
4️⃣ 투구 관련 용어
| 직구 | Fastball | 가장 빠르고 직선적인 구종 |
| 변화구 | Breaking Ball |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 회전으로 변화하는 공 |
| 커브 | Curveball | 큰 회전을 통해 떨어지는 공 |
| 슬라이더 | Slider | 좌우로 휘어지는 변화구 |
| 체인지업 | Changeup | 속도를 낮춰 타이밍을 빼앗는 공 |
| 포크볼 | Forkball | 떨어지는 회전이 큰 변화구 |
| 제구력 | Control | 공의 정확도와 코너워크 능력 |
5️⃣ 경기 상황 및 기록 용어
| 이닝 | Inning | 1회~9회까지 경기 단위. 각 팀이 공격·수비 한 번씩 진행 |
| 스코어 | Score | 점수 |
| 아웃 | Out | 공격 기회 종료 요소 (3아웃이면 공수교대) |
| 무사 / 1사 / 2사 | No out / One out / Two outs | 현재 아웃 카운트 |
| 득점 | Run | 홈을 밟고 들어와 얻은 점수 |
| 타점 | RBI (Run Batted In) | 타격으로 주자의 득점을 만든 기록 |
| 타율 | Batting Average (AVG) | 안타/타석 비율 |
| 방어율 | ERA (Earned Run Average) | 투수가 허용한 평균 자책점 |
| WHIP | Walks + Hits per Inning Pitched | 이닝당 주자 허용률 |
6️⃣ 기타 중요 용어
| 선발 투수 | Starting Pitcher | 경기 초반 투수 |
| 중간계투 | Relief Pitcher | 중간에 나오는 투수 |
| 마무리 투수 | Closer | 9회 등 마지막 이닝을 책임지는 투수 |
| 승리 투수 | Winning Pitcher | 팀의 승리를 가져온 투수 |
| 세이브 | Save (SV) | 리드를 지켜 경기를 마친 마무리 투수 |
| 블론 세이브 | Blown Save | 리드를 지키지 못한 마무리 상황 |
| 올스타 | All-Star | 최고의 성적을 거둔 선수 모임 |
| 사이영상 | Cy Young Award | 최고의 투수에게 주어지는 상 |
| MVP | Most Valuable Player | 시즌 또는 경기의 최우수 선수 |
📘 정리: 야구는 용어로 이해하면 더 재밌다!
야구는 전략, 기록, 기술이 조화된 스포츠입니다. 위 용어들을 알면 중계도 더 잘 들리고, 경기 이해도 훨씬 깊어집니다. 초보자라면 먼저 포지션 → 타격/수비 → 투구 → 기록 순서로 익혀보는 걸 추천합니다.

⚾⚾⚾ 사인 교환 ⚾⚾⚾
아래는 투수와 포수 간의 사인 교환, 그리고 감독·코치와 선수 간의 사인 교환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을 분류별로 분석하고, 한국어-영어 병기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피치콤이란 무엇인가?
야구에서 PitchCom(피치컴)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최근 경기를 보면 투수의 헬맷 안에 어떤 장치를 설치하여 포수 혹은 감독진으로부터 볼 배합에 관한 지시를 받던데, 이것은 무엇일까요? 최근 경기를 보며 포착하신 그 장치는 바로 **"PitchCom (
fantasy-park.com
⚾ 사인 교환에 사용되는 용어 정리 (Sign Communication in Baseball)
1️⃣ 투수와 포수 간의 사인 교환

경기의 핵심인 어떤 구종을 던질지, 위치가 어디일지를 조율하기 위해 포수가 손가락, 몸짓, 눈짓 등으로 사인을 보냅니다.
| 사인 (신호) | Sign / Signal | 투수가 던질 공의 종류와 위치를 포수가 손가락 등으로 전달 |
| 직구 | Fastball | 보통 ‘1번 사인’으로 사용 (손가락 하나) |
| 커브 | Curveball | ‘2번 사인’ (손가락 두 개) |
| 슬라이더 | Slider | ‘3번 사인’ (손가락 세 개) |
| 체인지업 | Changeup | ‘4번 사인’ (손가락 네 개) 또는 손바닥 흔들기 |
| 포크볼 | Forkball | 손가락 두 개 벌림, 또는 손가락을 뾰족이 세움 |
| 높은 존 | High Zone | 사인을 줄 때 손을 위로 올림 |
| 낮은 존 | Low Zone | 손을 아래로 내림 |
| 외각 / 외측 | Outside / Away | 손을 바깥쪽으로 흔들기 |
| 내각 / 내측 | Inside | 몸 쪽으로 손을 당김 |
| 사인 미스 | Sign Missed / Crossed Up | 투수와 포수가 다른 사인을 이해해 공이 엉뚱하게 들어감 (위험) |
| 사인 다시 요청 | Shake off / Reluctance | 투수가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사인 거부 → 새 사인 요구 |
| 사인 일치 | On the same page | 투수와 포수가 사인 해석을 정확히 맞춘 상태 |
| 자동 사인 | PitchCom | MLB에서 사용하는 무선 전자 사인 시스템 (최근 도입됨) |
2️⃣ 감독·코치와 선수 간의 작전 사인
타석에서의 작전, 주루, 번트, 히트 앤드 런 등을 지시할 때 주로 몸짓 신호로 전달됩니다. 다양한 ‘가짜 동작’(dummy signs)을 섞어 실제 사인을 숨깁니다.
| 작전 사인 | Signs / Signals | 감독이 타자나 주자에게 지시하는 전략 신호 |
| 번트 사인 | Bunt Sign | 헬멧을 톡 치거나 팔꿈치 만지는 등으로 지시 |
| 히트 앤드 런 | Hit and Run | 주자가 뛸 때 타자도 의도적으로 스윙하는 작전 |
| 도루 사인 | Steal Sign | 허벅지 터치, 손목 터치 등으로 주자에게 전달 |
| 거짓 사인 | Dummy Sign / Decoy | 혼란을 유발하기 위한 가짜 신호 |
| 사인 시스템 | Sign System | 팀마다 정한 복잡한 신호 규칙 (예: "세 번째 동작이 진짜") |
| 사인 도청 | Sign Stealing | 상대 팀의 사인을 해석하거나 훔쳐보는 것 (MLB에서는 금지) |
| 사인 교환 실패 | Missed Sign | 타자나 주자가 사인을 못 봤거나 오해한 경우 |
| 시간 요청 | Time Out | 사인을 다시 확인하거나 작전 수행 준비를 위한 요청 |
| 몸짓 사인 | Body Signal / Gestures | 손짓, 모자 만지기, 허리 터치 등 다양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
3️⃣ 특수 사인 및 제스처 (현대 야구의 트렌드)

| 전자 사인 시스템 | PitchCom | MLB와 일부 리그에서 사용하는 무선 사인 시스템 (포수→투수, 다국어 가능) |
| 사인 보안 | Sign Encryption | 사인을 외부에서 해독하지 못하게 복잡한 규칙으로 설계 |
| 프레이밍 전 사인 | Pre-pitch Framing Signs | 투수의 공에 맞춰 포수가 미리 포수미트를 위치시키는 신호 |
| 벤치 사인 | Bench Signal | 벤치에서 코치가 타자나 주자에게 직접 지시 (음성 X, 눈짓이나 제스처) |
✅ 정리 요약
| 투수-포수 간 | 손가락, 위치, 눈짓 | 1번=직구, 2번=커브 | |
| 감독-선수 간 | 몸짓, 터치, 순서 | 팔→허벅지→귀 (3번째가 진짜) | |
| 현대 기술 | PitchCom 등 | 버튼 입력으로 무선 전달 |
🎯 이해 포인트
- 사인 교환은 팀 전략의 핵심입니다.
- 단순히 "어떤 공을 던질까" 이상의 심리전과 암호 해독전이 포함됩니다.
- 메이저리그에서도 사인 도청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기술적 해결책이 계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피치컴이란 무엇인가?
야구에서 PitchCom(피치컴)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최근 경기를 보면 투수의 헬맷 안에 어떤 장치를 설치하여 포수 혹은 감독진으로부터 볼 배합에 관한 지시를 받던데, 이것은 무엇일까요? 최근 경기를 보며 포착하신 그 장치는 바로 **"PitchCom (
fantasy-park.com
'스포츠 >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KBO ‘웰컴 톱랭킹 시스템’ 확인하기 (1) | 2025.06.08 |
|---|---|
| ⚾ 야구 - 피치 클락(Pitch Clock)이란 무엇인가? (3) | 2025.06.06 |
| 야구에서 피치컴(PitchCom)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4) | 2025.06.06 |
| 한국 프로야구(KBO)의 역사와 세계 프로야구 비교 (12) | 2025.05.27 |
| 한국 프로야구(KBO) 팀분석 및 2025 성적 확인하기 !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