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연예/공연.전시.축제

고령 대가야축제 (3/28-30)-'대왕의 나라' ●산불관계로 행사취소(3/27)●

by fantasypark 2025. 3. 26.
반응형

 
 
고령 대가야축제는 매년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열리는 대표적인 문화축제입니다. 2025년 축제는 '대왕의 나라'를 주제로 **3월 28일(금)부터 3월 30일(일)**까지 개최됩니다. 주요 행사는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대가야박물관, 지산동고분군 및 대가야읍 일원에서 진행됩니다.
 

주요 행사 프로그램 :

 
대가야종묘대제: 3월 28일(금) 오전 10시에 대가야종묘에서 열리는 전통 제례 행사입니다.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공연 및 포토타임: 3월 28일(금)부터 3월 30일(일)까지 매일 오전 11시와 오후 3시에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야외무대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특별 공연이 진행됩니다.

대가야박물관 개관 20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개막식: 3월 28일(금) 오후 1시에 대가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개막식이 열립니다.

역사 토크콘서트: 3월 28일(금) 오후 4시 30분에는 유홍준 교수, 3월 29일(토) 오후 3시에는 최태성 강사의 역사 토크콘서트가 대가야문화누리 야외공연장에서 진행됩니다.

군민가왕 선발대회: 3월 28일(금) 오후 6시 30분에 대가야문화누리 야외공연장에서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는 가왕 선발대회가 열립니다.

마상무예 공연: 3월 29일(토) 오전 11시에 대가야 기마문화체험장에서 전통 마상무예 공연이 펼쳐집니다.

블랙라이트 어린이극: 3월 29일(토)부터 3월 30일(일)까지 매일 오후 2시에 대가야문화누리 가야금홀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블랙라이트 공연이 진행됩니다.

창작뮤지컬 '가얏고': 3월 30일(일) 오후 1시와 4시에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에서 창작뮤지컬 '가얏고'가 공연됩니다.
 

체험 프로그램 :

 
 
 
핑크모래놀이터 포토존 '핑크월드': 가족 단위 방문객들을 위한 포토존이 마련됩니다.

대가야발굴탐험대: 대왕토기 발굴 체험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이 고고학자가 되어 발굴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미로탈출게임: 방문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미로탈출 체험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딸기 체험 프로그램: 고령 특산물인 딸기를 활용한 딸기퐁듀, 딸기타르트, 딸기캔들 만들기 등의 체험이 가능합니다.
 

특별 행사 :

 
100대 가야금 연주 '대가야의 꿈':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과 고령청소년가야금연주단, 전국 우륵가야금경연대회 수상자들이 함께하는 100대 가야금 연주회가 열립니다.

축제장 위치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대가야로 1216,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교통 및 주차 정보 :

축제 기간 동안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가 운행될 예정이며, 주차장은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인근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교통편과 주차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일정과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 정보는 고령대가야축제 공식 홈페이지(https://www.festdgy.com/)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고령지역의 다양한 설화와 전설]

경상북도 고령 지역에는 오랜 세월 구전되어 내려오는 다양한 설화와 전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과 신앙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설화와 전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신화

대가야 건국 신화: 가야산의 산신인 정견모주(正見母主)가 천신 이비가(夷毘訶)와의 관계로 두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 아들 뇌질주일(惱窒朱日)은 후에 대가야의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이 되었고, 둘째 아들 뇌질청예(惱窒靑裔)는 금관가야의 수로왕이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2. 자연 전설

가마바위 전설: 운수면 신간리의 큰 평평한 바위에 얽힌 이야기로, 이웃 마을로 시집가던 신부가 가마를 내리고 친정집을 바라보며 쉬어갔다는 전설입니다.

미숭산과 기우천 전설: 쌍림면 월막리의 미숭산과 기우천에 관련된 이야기로, 가뭄 때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렸다는 전설입니다.
 

3. 인물 전설

미숭장군 전설: 고려 말 안동 장군 이미숭이 이성계의 난을 피해 미숭산에 은거하며 항거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송암 김면 장군 전설: 임진왜란 때 왜적에 맞서 싸운 송암 김면 장군의 용맹과 충절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우륵 전설: 대가야의 악성 우륵이 가야금을 제작하고 연주한 이야기로, 그의 음악적 업적과 관련된 전설입니다.
('우륵의 가야금과 고령의 대가야' 이 내용은 본 행사의 주제와 각종 프로그램에도 영향이 지대하기에, 별도의 내용으로 올리겠습니다.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우륵 전설 :
https://fantasypark.tistory.com/entry/우륵의-가야금과-고령의-대가야

우륵의 가야금과 고령의 대가야

[우륵과 경북 ‘고령’의 관련성 분석]  1. 우륵과 고령의 역사적 연관성  우륵(于勒)은 6세기경 가야의 대표적인 음악가로, 특히 대가야(大伽倻)의 중심지였던 경북 고령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

fantasy-park.com


 

4. 효행 및 열녀 전설

강씨 효자비 이야기: 효성이 지극한 강씨 성을 가진 인물의 효행에 대한 이야기로, 그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효자비와 관련된 전설입니다.

열부 이야기: 남편이 죽은 후에도 정절을 지키며 시부모를 봉양한 열녀의 이야기로, 그녀의 희생과 미덕을 전하는 전설입니다.
 

5. 풍속 및 신앙 전설

오사동 산신제 전설: 개진면 오사동에서 전해지는 산신제에 관한 이야기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와 관련된 전설입니다.

옥산동 당산제 유래: 옥산동에서 전해지는 당산제의 기원과 관련된 이야기로,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전설입니다.


이러한 설화와 전설은 고령 지역의 역사적 사건, 인물, 자연환경, 그리고 주민들의 신앙과 생활 방식을 반영하며,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