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2025년 부산시 청년지원정책 총정리

fantasypark 2025. 7. 12. 20:50
반응형

 

 

전국의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 지원 정책'**「청년기본법」**에 근거하여, 청년의 권리 보호 및 신장, 정책 결정 과정 참여 확대, 고용 촉진, 능력 개발, 복지 향상 등을 통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청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사회적·경제적 지원 정책을 의미합니다.

 

📌 부산시 청년지원정책 총정리

부산 청년을 위한 주거·취업·생활비 정책까지! 2025년 부산시 청년지원정책 총정리해드립니다. 빠르게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부산에 살면 청년이 든든하다”


부산시는 청년층의 자립과 안정적인 삶을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청년 주거, 취업, 자산 형성, 생활비, 면접비 등 분야별 주요 정책을 총정리해드립니다.

 

1. 청년 월세지원 사업

  • 월 최대 20만 원씩, 최대 12개월 지원
  • 부산 거주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중위소득 150% 이하
  • 독립 세대주, 임대차계약 필수
  • 신청처: 부산시청 또는 구·군청 홈페이지

2. 청년 면접지원금 (면접수당)

  • 면접 1회당 5만 원, 최대 20만 원 지원
  • 부산 거주 미취업 청년 대상
  • 면접 후 30일 이내 신청 필수
  • 신청처: 부산일자리정보망

3. 청년 자산형성 통장 (희망내일통장)

  • 매달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만~30만 원 매칭
  • 저소득 근로 청년 대상
  • 지원기간 최대 3년
  • 총 1,200만 원 이상 자산 마련 가능

4. 청년 취업역량강화 지원

  • 자기소개서 컨설팅, 면접클리닉, NCS 교육 등 제공
  • 부산청년두드림센터, 부산일자리정보망에서 운영
  • 전액 무료

5. 청년 교통비 환급제

  • 대중교통비 최대 30% 환급 (연 36만 원 한도)
  • 부산 거주 만 19~34세 청년 대상
  • 부산 소재 사업장 근무자 또는 구직자

6. 청년 전세보증금 이자 지원

  • 전세 대출이자의 1~2% 지원
  • 보증금 2억 이하, 무주택 청년 대상
  • 지원기간 최대 2년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중복 신청 가능?
대부분 가능하나, 유사 정책 간 제한 있을 수 있음

Q2. 전입 청년도 신청 가능?
3개월 이상 거주 시 가능

Q3. 대학생도 지원 가능?
소득 기준 충족 시 대부분 포함

 

결론

 

부산시 청년지원정책은 주거, 생활, 자산, 취업까지 폭넓게 구성돼 있습니다. 청년이라면 반드시 확인해보고,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