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스포츠일반
제2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분석 1R (한국 2승, 중국 2승, 일본 0승) 2R : 11월 부산
fantasypark
2025. 7. 25. 11:07
반응형

🍜 제2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분석
<한·중·일 삼국의 자존심을 건 바둑 국가대항전>
한국기원이 주최,주관하고 농심그룹에서 후원하는 바둑대회로 정식 명칭은 농심辛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입니다. 참고로, 후원사 농심은 이름을 '辛라면배 ~'로 짓고 싶어했지만 한국 바둑계는 '농심배 ~'를 바랐고, 결국 둘 다 썼다. 로고에서 辛을 유독 크게 씁니다.
직접적으로 진로배를 계승한 타이틀은 아니지만, 한-중-일 3국 국가 대항전이라는 규칙은 그대로 이어왔기에 정신적인 계승자 정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중/일 3국에서 각각 5명씩 선수가 출전하며, 한 경기의 승자가 계속 두어 다른 두 나라에 더 이상 선수가 남지 않을 때까지 계속합니다.
🧭 대회 개요
- 대회명: 제2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주최/후원: 한국기원, 중국위기협회, 일본기원 / (주)농심
- 참가국: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국)
- 형식: 각국 5명 대표 선발 → 연승전 방식
- 상금: 우승 상금 5억 원 (승자 독식)
- 기간: 2025년 9월~2026년 2월 (9월 2일 중국 칭다오에서 개막, 9월 3일 개막전 1국 <한국 이지현 : 중국 리진청), 3차례에 걸쳐 칭다오·부산·상하이 등지에서 열림. (1차 대회는 2025년 9월 중국 칭다오)

한국기원
www.baduk.or.kr
⚔️ 연승전 방식이란?
- 각국 1번 선수 출전 → 승자는 계속 출전, 패자는 탈락
-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국가가 우승
- 한 명이 연승할 경우 전 대국 승리를 가져올 수도 있어, ‘에이스 한방’이 결정적인 포인트
🇰🇷 한국 대표팀
※ 한국은 최근 4년간 우승 (제23~26회)으로 절대 강세
순번 선수
1 | 이지현 |
2 | 안성준 |
3 | 강동윤 |
4 | 박정환 |
5 | 신진서 |
🇨🇳 중국 대표팀
순번 선수
1번 | 리진청 |
2번 | 양카이원 |
3번 | 탄샤오 |
4번 | 왕싱하오 |
5번 | 딩하오 |
🇯🇵 일본 대표팀
순번 선수
1번 | 후쿠오카고타로 |
2번 | 쉬자위안 |
3번 | 시바노도라마루 |
4번 | 이야마 유타 |
5번 | 이치리키 료 |
⚔️ 7/25일까지 정해진 출전 선수 명단 ▶:
한국 선수단만 결정 완료되었습니다.

제27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출전 선수
|
|||||
한국 기원
|
중국 기원
|
일본 기원
|
|||
한국
|
중국
|
-
|
|||
한국
|
중국
|
-
|
|||
한국
|
중국
|
-
|
|||
한국
|
중국
|
-
|
|||
한국
|
중국
|
-
|

📊 전년도 결과 (제26회)
- 우승: 대한민국
- 결정적 연승: 원성진 4연승 + 신진서 최종승
- 한국의 연승 흐름 유지 성공

🎯 관전 포인트
- 한국 5연패 도전
- 신진서를 중심으로 강력한 라인업
- 중국의 반격 여부
- 딩하오, 커제 등 스타들의 복수
- 일본의 전략 변화
- 안정적 운영 중심의 세대교체 시도
🧠 농심배의 매력
- 연승전 특성상 한 판의 무게감이 큼
- 국가 간 경쟁 + 개별 선수 집중도 높음
- 예상 못한 대역전극 다수 (한 명이 5연승 등)
- 팬들에게는 ‘승부의 드라마’를 선사하는 무대

📝 마무리
제27회 농심 신라면배는 단순한 바둑 대회가 아닌, 삼국의 전략·심리전·기풍이 맞서는 동양 지혜 대결의 상징입니다. 한국 대표팀이 5연패라는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지, 또는 중국의 커제, 딩하오가 이를 저지할지, 일본은 반전의 한 수를 보여줄 수 있을지—매 한 판이 한 편의 전쟁입니다.
🔥 바둑팬이라면 절대 놓쳐선 안 될 가을의 승부극, 농심 신라면배를 주목하세요!
반응형